기록하는 습관

[문제풀이] 경쟁적 전염 본문

알고리즘/[문제풀이] 백준

[문제풀이] 경쟁적 전염

로그뉴 2020. 8. 22. 18:51

[문제]

NxN 크기의 시험관이 있다. 시험관은 1x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지며, 특정한 위치에는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다. 모든 바이러스는 1번부터 K번까지의 바이러스 종류 중 하나에 속한다.

시험관에 존재하는 모든 바이러스는 1초마다 상, 하, 좌, 우의 방향으로 증식해 나간다. 단, 매 초마다 번호가 낮은 종류의 바이러스부터 먼저 증식한다. 또한 증식 과정에서 특정한 칸에 이미 어떠한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면, 그 곳에는 다른 바이러스가 들어갈 수 없다.

시험관의 크기와 바이러스의 위치 정보가 주어졌을 때, S초가 지난 후에 (X,Y)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만약 S초가 지난 후에 해당 위치에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0을 출력한다. 이 때 X와 Y는 각각 행과 열의 위치를 의미하며, 시험관의 가장 왼쪽 위에 해당하는 곳은 (1,1)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3x3 크기의 시험관이 있다고 하자. 서로 다른 1번, 2번, 3번 바이러스가 각각 (1,1), (1,3), (3,1)에 위치해 있다. 이 때 2초가 지난 뒤에 (3,2)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를 계산해보자.

1초가 지난 후에 시험관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2초가 지난 후에 시험관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결과적으로 2초가 지난 뒤에 (3,2)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3번 바이러스다. 따라서 3을 출력하면 정답이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 K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1 ≤ N ≤ 200, 1 ≤ K ≤ 1,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서 시험관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 행은 N개의 원소로 구성되며,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번호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단, 해당 위치에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이 주어진다. 또한 모든 바이러스의 번호는 K이하의 자연수로만 주어진다. N+2번째 줄에는 S, X, Y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0 ≤ S ≤ 10,000, 1 ≤ X, Y  N)

출력

S초 뒤에 (X,Y)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를 출력한다. 만약 S초 뒤에 해당 위치에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0을 출력한다.

 

[코드]

# 경쟁적 전염 5:50-6:40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k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s,X,Y = map(int, input().split())

dx = [-1,1,0,0]
dy = [0,0,-1,1]

virus = [[] for _ in range(k)]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graph[i][j] == 0:
            continue
        else:
            virus[graph[i][j]-1].append((i,j))

def bfs(s):
    count = -1
    q = deque()
    # 1초
    for virus_num in virus:
        for v in virus_num:
            q.append(v)
    q.append((count,count))
    
    while q:
        x,y = q.popleft()
        if x < 0 and y < 0:
            if s == x * (-1):
                break
            else:
                count -= 1
                q.append((count,count))
                continue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nx < 0 or ny < 0 or nx >= n or ny >= n:
                continue
            if graph[nx][ny]!=0:
                continue
            if graph[nx][ny]==0:
                graph[nx][ny] = graph[x][y]
                q.append((nx,ny))
              
    print(graph[X-1][Y-1])
                
bfs(s)

 

알고리즘

  1. 바이러스 수 K개 만큼 반복
    • 바이러스 번호 낮은 것부터 상하좌우 증식 1번 수행
  2. def 증식
    • 경계처리
    • graph[nx][ny] == 0이면 증식
  3. s초 끝나면 graph(X-1,Y-1) 출력

이렇게 생각 하다가 곧 queue 구현이 떠올랐다.

* 발그림 주의..

처음엔 바이러스 숫자가 낮은 순서대로 어떻게 bfs를 진행하지 해서

각각 queue 진행을 해봤더니

그냥 하나의 큐에 바이러스 번호가 낮은 순서대로 넣기만 하면 된다는 결론이 나왔다..

(너무나 당연..)

 


풀이 시간이 50분으로 되어 있었는데 풀이 하나도 안보고 딱 50분만에 풀어서 너무 뿌!!듯!!

구현도 빠르고 정확하게(별 오류 없이) 해서 너무 뿌!!듯!!

 

https://www.acmicpc.net/problem/18405

'알고리즘 > [문제풀이]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DP - 계단 오르기  (0) 2020.10.03
[백준] DP - 1로 만들기  (0) 2020.10.03
[백준] 1697 숨바꼭질(BFS)  (0) 2020.01.21
[백준] 2178 미로탐색  (0) 2020.01.21
[백준] 1260 DFS와 BFS  (0) 2020.01.0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