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백준
- Kotlin in action 3장
- 코틸린인액션
- Kotlin in action 10장
- 컨베이어 벨트 위의 로봇 Python
-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 kotlin in action 정리
- 스프링 핵심 원리
- 20055
- 백준 20055 컨베이어 벨트 위의 로봇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백준 13460 Python
- KotlinInAction
- 20055 컨베이어 벨트 위의 로봇
- Kotlin in action 5장
- 기능개발 python
- 코틀린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7장
- Python
- 7장 고급매핑
- 스프링 핵심 원리 이해
- spring
- Kotlin in action 6장
- Kotlin
-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 고급매핑
- 코틀린인액션
- 13460 구슬탈출 2
- Kotlin In Action
- 싱글톤 컨테이너
Archives
- Today
- Total
기록하는 습관
Elasticsearch (9) - Elasticsearch Client 본문
Elasticsearch Client
실무에선 대량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ES에 접근할 때 전용 클라이언트 모듈을 많이 사용한다.
- Rest Client
- Java High Level REST Client 라고도 불림
- HTTP 방식 사용
- 내부적으로 HttpClient 모듈 사용
- Transport Client
- Java Client 라고도 불림
- 초기부터 제공되던 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보장함.
- Socket 이용
- 내부적으로 Netty 모듈 사용
** ES 7.0 이후 부터는 Transport 클라이언트가 폐기 되었기 때문에 REST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야 함.!!
Rest Client를 사용하는 이유
- Transport 클라이언트의 요청: JSON 파싱 -> 자바 객체로 변환 -> Transport Network 계층을 통해 바이너리 형식으로 서버에 전달
- REST 클라이언트의 요청: JSON이 그대로 서버에 전달
- REST 클라이언트를 사용할 경우 보안 측면에서 HTTPS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 -> 클러스터의 보안 강화 가능!
'개발 > Elastic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search (11) - 색인기 (0) | 2022.07.13 |
---|---|
Elasticsearch (10) - English 분석 (0) | 2022.07.06 |
Elasticsearch (8) - Elasticsearch Shard 최적화 (0) | 2022.07.06 |
Elasticsearch (7) - Elasticsearch와 Lucene (0) | 2022.07.06 |
Elasticsearch (6) - 노드의 종류 (0) | 2022.07.06 |
Comments